본문 바로가기
생각 그리고 대화/보고 듣고 생각하기

왜 책을 읽는가?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by 신천지행 2017. 11. 13.

한달에 한번 책을 읽고 토론하는 작은 동네 독서모임을 같이 하고 있다.


대한민국 XX평균이라는 찌라시 같은 신문들의 엉터리 통계를 인용하진 않아도

책을 적게 보는 편이라고 생각하진 않지만

책에 대한 편식이 심해져 간다고 느껴질 때쯤 우연히 만나게 된 모임이었다.


어느덧 2년이 지나가는 시점에서

얼마전 모임에서 재미난 일이 있었다.


실제 모임에 한번도 나온적이 없어서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대략 20대 후반 정도의 어느 신입회원이

한 권의 책을 선정하고는 모임당일에 참석도 않고 바로 전날 그냥 탈퇴를 해버린 사건...


그분이 탈퇴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날 선정했던 책 덕분에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에 대한 토론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모임이 되었다.


나는 선정된 책을 다 읽지 않았다.

아니 읽어가다가 자기개발서식의 나열에 지루함을 느꼈고

결국 책을 다읽을 이유를 찾지못해 중간에 읽기를 포기했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 될 것 같다.


이날 선정되었던 책은

21세기 북스에서 나온 <군주의 거울, 키루스의 교육(김상근 저)> 였는데

모임에서 다른 분이 설명해 주셔서 21세기 북스가 자기개발서 전문 출판사라는 것도 처음 알게 되었다.


한때는 책에 빠져 한달에 10권 20권씩 읽었던 적도 있었지만

점점 일상이 바빠져 가면서

한달에 2~3권 정도밖에 책을 읽지 못하는 것 같다.


그때그때 주어진 상황에 따라 좀더 읽기도 하지만

대체로 주당 한권의 책을 읽는다고 가정하면 1년에 50권정도의 책을 읽게된다.


실제로 모임에서 어느분이 이런 식으로 계산한 적이 있었는데

현재의 평균수명을 감안해서 70세까지 책을 읽을 수 있다고 가정하면

남은 생애동안 1000~1500권정도 밖에 읽을 수 없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것도 한주에 한권씩 부지런히 읽었을경우에 말이다.


그분이 그러니 한권의 책을 읽더라도 좀더 양식이 되는 책을 읽고 싶다는 이야기를 한적이 있었다.


아무리 책 편식을 피하고 싶어 독서모임을 하는 것이라도

나에게 자산이 되지 않을 책은 읽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책이 아마도 그런 책이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물론 모임에는 여러 나이대와 다양한 사람이 모여있어서

나름 선정되었던 책이 의미있게 다가온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과거에는 무조건 책을 많이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많은 책을 읽고 점차 나이가 들어가면서

아무 음식을 막먹으면 안되듯이

책도 아무책이나 보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책은 마음의 양식이라고 부르는 만큼

맛있기만 해도 안되고 건강에도 도움이 되는 책을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자기개발서 라는 것이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개발서라는 것인 선배의 경험을 후배에게 전달하는 것이기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자기개발서는 점장이가 사람의 앞일을 맞추기 위해 입발린 뻔한 소리만 하는 것처럼

자기개발서도 그저그런 이야기들이 들어있는 경우가 너무 많았다.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 고민이 드는 시간이다.